제목 | 철강·이차전지 산업위기 적극 대응 경북 상의 10곳, 정부·국회에 호소 | ||
---|---|---|---|
작성자 | 박준혁 | 작성일 | 2025.10.01 |
경북지역 상공인들이 경북의 주력산업인 철강·이차전지 산업의 위기에 적극 대응할 것을 정부와 국회에 호소하고 나섰다.
경북상의와 구미·김천·안동·포항·경주·영주·경산·영천·칠곡·상주상의는 9월 30일 결의문에서 “미·중 무역 갈등과 美 관세정책 등으로 수출 환경이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으며 미국 현지 생산 압박이 더 강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호소했다.
이들은 “철강 도시 포항은 세계적인 공급 과잉, 중국의 저가 공세, 미국의 50% 관세 부과 조치로 가동률이 급감하고 영업이익이 대폭 줄어 가장 큰 위기에 봉착했다”며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 현대제철 포항2공장 폐쇄로 협력사, 중소 철강사뿐 아니라 소상공인을 비롯한 지역경제 전반에 파장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기차 캐즘 현상이 길어져 포항, 구미의 이차전지 기업 가동률도 대폭 떨어진 상황이며, 지난 3월 경북의 대형산불로 많은 인적·물적 피해를 봤다”며 “경직된 노동시장과 제한된 근로 시간이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를 부추기고 양질의 일자리를 줄어들게 해 국내 제조기업들이 인력난과 내수 부진에 허덕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 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K-스틸법)’과 ‘이차전지 산업 육성 및 지원 특별법’ 등 맞춤형 지원 입법을 조속히 추진하고 산업용 전력요금과 법인세, 상속 증여세, 근로소득세 인하를 요구했다. |
▲ | 포스텍, 첨단제조혁신테스트베드센터 착공 |
---|---|
‒ | 철강·이차전지 산업위기 적극 대응 경북 상의 10곳, 정부·국회에 호소 |
▼ |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한달, 포항 철강기업 “실효성 없다” 냉담 |
(우)37783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33 (상도동)
대표전화 : Tel: 054-274-2233 Fax: 054-283-1823 문의 : pohang@korcham.net
Copyright (c) 2017 pohangcci, All Right Reserved.